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질병 | 질환 정보

입에서 쓴맛이 나는 이유, 원인 질환, 없애는 방법

by 주식하는 개발자 2024. 10. 19.

약을 먹은 것처럼 입안에서 쓴맛이 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 물을 섭취하거나 달달한 음식을 먹으면 대부분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무언가 먹지 않은 경우 또는 아침에 일어났을 때 입에 쓴맛이 도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입에서 쓴맛이 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입에서 쓴맛이 나는 이유

입에서 쓴맛이 나는 이유는 다양하며, 질환이 원인인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미각 이상이 생기는 경우를 알아보겠습니다.

 

1. 역류성 식도염

음식을 섭취하지 않았는데도 입안이 쓰고, 신맛이 난다면 위식도 역류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하부식도 괄약근 등 소화기관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위액이 역류해 시큼 거리 거나 씁쓸한 맛을 내는 것인데, 위액이 가진 특유의 쓴맛과 냄새 때문에 입에서 쓴맛이 날 수 있습니다. 

위 내용물이 역류하면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을 유발하기도 하고, 쉰 목소리, 목 이물감, 만성 기침, 수면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역류성 식도염은 비만, 임신, 복수, 소화기능 저하, 스트레스 등으로 위압이 높아진 사람에게서 잘 나타납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입에 쓴 맛이 난다면 역류성 식도염, 위산과다분비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2. 구강 건조증

입이 마르고 쓴맛이 난다면 구강건조증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보통 성인은 하루에 1~1.5L의 침이 분비되는데 침 분비가 줄어들게 되면 구강이 건조해지고, 미각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입안이 말라 음식을 씹고 삼키는 게 힘들고, 말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구강 건조증은 당뇨, 영양소 결핍, 노화 등이 대표적인 원인이며, 우울증 등의 신경계 질환으로도 생길 수 있습니다.

3. 당뇨 환자

당뇨 환자의 경우 복용 중인 약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입에서 쓴맛이 나거나 금속성 맛이 나는 것은 당뇨 치료제 부작용 중 하나 일 수 있습니다. 당뇨치료제는 간에서 포도당이 생성되는 것을 막고, 장에서는 포도당의 흡수를 감소시켜 인슐린에 대한 민감성을 개선시킵니다. 당뇨치료제 중 하나인 메트포르민에 의한 미각 부작용은 약 3%의 환자가 겪을 수 있으나, 보통 점차 소실되는 양상을 보인다고 합니다. 

또한, 당뇨로 인해 몸 안에 누적된 만성적인 염증 때문일 수 있습니다.

 

4. 구강작열감 증후군

입천장 또는 혀나 입안 점막이 화끈거리고 아프다면 구강작열감 증후군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뇌출혈, 뇌경색 등의 질환으로 인해 뇌신경계에서 미각을 담당하는 부위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가 있습니다. 

5. 구강 위생 불량

구강위생이 불량하거나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도 미각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아연, 영양 결핍

입맛이 쓰고 음식 맛이 느껴지지 않는 다면 아연 등 영양결핍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혀에 있는 미뢰를 통해 맛을 느끼는데 아연 성분이 부족해지면 미뢰의 구조나 기능 이상이 생겨 미각 장애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연 일일 권장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8~9mg, 여성의 경우 7~8mg입니다. 
아연은 주로 해산물, 붉은 살코기, 콩류, 굴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2. 입에서 쓴맛 없애는 방법

입에서 쓴맛이 나는 경우 없애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식후 바로 눕지 않기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식후 바로 눕지 말고, 취침 시에는 고개와 어깨를 가슴보다 조금 높게 뒤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과체중인 경우에는 체중 감량을 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가장 좋은 치료 방법입니다.

2. 당뇨 치료제
당뇨 치료제 때문이라면 몇일 안에 해결되지만, 지속적으로 미각 이상이 발생한다면 대체 약물을 제안할 수 있는 처방자에게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 

3. 아연 섭취
영양 결핍 때문이라면 영양섭취에 신경을 써주시고, 특히 아연 부족은 우리의 혀에 있는 미뢰 기능이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연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주세요. 

4. 수분 섭취
구강 건조 때문이라면 수분섭취가 중요합니다. 하루 최소 2L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5. 구강 청결
구강 위생 불량의 경우 하루 적어도 두 번 이상 양치질을 해주세요. 혀를 닦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럼 입에서 쓴맛이 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