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코로나가 끝나고 일본 여행을 갔다 오시면서 사케를 많이 사 오시는데요.
사케를 구입할 때 사케 코너에서 '준마이 다이긴죠' 라는 용어가 자주 보게 됩니다.
준마이 다이긴죠는 사케 등급 중 최고를 뜻하는데요. 숙성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어두운 병에 담겨 판매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사케 관련 단어들을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1. 청주, 사케, 정종, 니혼슈의 차이는?
청주는 찹쌀을 쪄서 밥과 누룩을 버무려 발효시킨 후 맑게 걸러낸 술을 말하는데요.
이러한 방법으로 만드는 일본식 청주를 우리나라에서는 '사케'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정작 일본에서는 사케라는 명을 쓰지 않고 '니혼슈'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일본에서 사케를 주문하고 싶으면 니혼슈 리스트에서 선택하면 됩니다.
일본에서 사케는 청주를 뜻하지 않고, 일반적인 술이라는 뉘앙스로 사용됩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청주를 '정종'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정종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청주의 특정 상표명입니다. 정종은 일본어로 마사무네라고 부릅니다.
용어 | 설명 |
청주 | 청주는 찹쌀을 쪄서 밥과 누룩을 버무려 발효시킨 후 맑게 걸러낸 술을 말합니다. |
사케 | 본에서는 청주를 의미하지 않고 일반적인 술을 의미합니다. 한국과 미국에서는 일본식 청주를 사케라고 부릅니다. |
니혼슈 | 주를 일본에서는 니혼슈라고 합니다. 일본에서 사케를 주문하고 싶으면 니혼슈에서 선택하면됩니다. |
정종 | 정종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청주의 상표명입니다. 일본어로는 마사무네라고 부릅니다 |
2. 준마이란?
앞서 청주, 사케, 니혼슈, 정종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그럼 '준마이(純米)'는 무슨 뜻일까요?
'준마이'란 주정(양조알코올)을 포함하지 않고 순수하게 쌀과 누룩, 물로만 발효시킨 술이라는 뜻입니다.
발효를 통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알코올만으로 술을 만들기도 하지만, 주정(양조알코올)을 섞어 만드는 술도 있습니다.
여기서 주정을 넣지 않고 순수 쌀과 누룩으로 만든 술을 '준마이'라고 하는데요. 주정을 첨가하여 만든 술은 '혼조주'라고 합니다.
준마이가 높은 등급의 술이긴 하지만, 주정을 넣었다고 해서 맛이 없는 사케는 아니니 오해는 하지 마시기 마랍니다. 음식에 조미료가 들어갔다고 맛이 없거나 나쁘다고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 준마이, 혼조주
준마이 : 쌀과 누룩으로만 발효시킨다.
혼조주 : 주정(양조알코올)을 첨가한 술입니다. 대부분 정미율 50%를 초과하는 경우 양조알코올을 첨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준마이가 붙은 술은 준마이, 준마이긴조, 준마이다이긴조라는 이름으로 표기하며 준마이긴죠, 준마이다이긴죠는 등급을 나타냅니다. 그럼 이제 다이긴죠, 긴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다이긴죠란?
앞서 준마이에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준마이 다이긴죠에서 다이긴죠는 또 무슨 뜻일까요?

사케는 쌀을 많이 깎을수록 가치가 올라갑니다. 즉 정미율이 높을수록 등급이 올라갑니다.
정미율이 50%이하면 '다이긴죠'
정미율이 60%이하면 '긴죠'
정미율이 70%이하면 '혼죠조' 라고 불립니다.
정미율이 50%이하이면 그만큼 쌀을 많이 깎은 것인데요. 이러한 '다이긴죠'는 쌀을 최대한 도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준마이 다이긴죠'라고 하면 사케 중 최고 등급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그럼 쌀을 많이 깎을수록 등급이 올라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쌀의 바깥 부분에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고, 쌀의 속으로 갈수록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지는데요.
일본에서는 쌀의 속살을 심백이라고 합니다. 심백이 많을수록 술의 발효가 더 잘 일어나고 맛과 풍미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또한, 심백이 많을 수록 쌀이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원가가 높아집니다. 즉 비싸지는 것이지요.
몇 년 전 오바마 대통령이 아베 총리에게 선물 받은 사케인 닷사이 23에서 23은 정미보합률입니다. 즉 77%의 겉 쌀을 깎고 23%의 심백을 사용했다는 의미입니다.
✅ 정미율 (쌀을 얼마나 깎아냈냐)
50% 이하 : 다이긴죠
50%~60% : 긴죠
60% 초과 : 혼죠조
4. 준마이 다이긴죠 종류, 추천
앞서 알아본 준마이와 다이긴죠를 합하면 준마이 다이긴죠가 됩니다. 주정을 첨가하지 않고 정미율이 50% 이하인 술을 말하는 것이지요.
그럼 준마이 다이긴죠 사케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1. 닷사이 준마이 다이긴죠 23
닷사이의 뜻은 수달 축제로 제조 지역인 야마구치현 강가에 수달이 많이 노니던 곳에서 사용했던 단어입니다.
닷사이 시리즈 중 가장 높은 등급이며 과실향과 머금었을 때 우아한 감칠맛, 은은한 단맛이 특징입니다.
용량 | 720ml
도수 | 16%
✅ 2. 코자에몽 다이긴죠
코자에몽 다이긴죠는 농후하면서도 화려한 향과 맛이 특징이고 부드럽고 투명한 맛이 입안에서 가볍게 퍼지는 게 특징입니다. 차가운 온도에서 상온까지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드라이한 사케입니다.
용량 | 720ml
도수 | 16%
✅ 3. 쿠보타 준마이 다이긴죠
쿠보타 양조장은 높은 퀄리티의 사케를 생산하기로 유명합니다. 1830년부터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쿠보타에서 사용된 쌀은 고햐쿠만고쿠이며 목 넘김이 깔끔해 가벼운 것이 특징입니다.
용량 | 720ml
도수 | 15%

✅ 4. 오토코야마 준마이 다이긴죠
오토코야마 준마이 다이긴죠는 홋카이도 지방을 대표하는 명주로 세계 주류 콩쿠르에서 38년 연속 금메달을 차지한 사케입니다. 강한 드라이한 느낌과 부드러운 목 넘김, 상괘한 과일향이 특징입니다.
용량 | 720ml
도수 | 16%
✅ 5. 오와리 오토코야마 다이긴죠
향과 부드러운 맛이 유명합니다. 일식, 치즈, 햄 등 다양한 요리와의 궁합이 뛰어난 사케로 특별한 자리 나 선물용으로도 적합합니다.
용량 | 720ml
도수 | 14%
✅ 6. 온나나카세 준마이 다이긴죠
온나나카세 준마이 다이긴죠는 여자의 눈물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술에 빠진 남자들이 더 이상 자신을 찾지 않자 서러움에 흘리는 여자의 눈물을 뜻합니다. 후지산 근처에서 만들어진 제품으로 부드러운 맛이 특징입니다. 밸런스에 신경 쓴 숙성을 통해 깊은 매력을 가진 사케입니다.
용량 | 720ml
도수 | 16%

✅ 7. 핫카이산 준마이 다이긴죠
정평이 나있는 야마다니시키 쌀을 50%나 도정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섬세하고 우아한 향과 맛이 특징입니다. 청사과, 시트러스, 미네랄 향에 부드럽고 깔끔한 맛이 매력적입니다.
용량 | 720ml
도수 | 15.6%
✅ 8. 월계관 준마이 다이긴죠
월계관 준마이 다이긴죠 일본의 대표적인 청주 브랜드 월계관에서 생산하는 준마이 다이긴죠입니다.
약 30일간의 저온 발효 과정을 거쳐 부드럽고 섬세한 맛을 냅니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품질로 다양한 요리와 어울리는 게 특징입니다.
용량 | 720ml
도수 | 16.5%
✅ 9.사와야 마츠모토 울트라 준마이다이긴죠
교토부에 위치한 마츠모토 주조에서 만든 프리미엄 사케입니다.
정미 비율은 40%로 제조되었고 탄산감이 높고 과일맛이 특징입니다. 고급스러움과 균형 잡힌 맛으로 사케 애호가들에게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용량 | 720ml
도수 | 15%
5. 사케 온도에 따른 명칭
보통 사케는 단맛이 강하면 차갑게, 드라이한 술은 데워먹는 게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회나 해산물 같은 차가운 요리는 차가운 사케가 어울리고
뜨거운 탕, 찜, 구이 요리에는 따뜻한 사케를 먹은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온도 | 용어 |
55°C | 토비키리깡 |
50°C | 아쯔깡 |
40°C | 누루깡 |
35°C | 히토하다깡 |
30°C | 히나티깡 |
20°C | 죠온 |
10~15°C | 히야 |
0~5°C | 레이슈 |
그럼 여기까지 사케 용어 준마이 다이긴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정보 > 주류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주 500ml 종류별 칼로리 얼마인가? 맥주 먹으면 살찌는 이유 (0) | 2024.05.19 |
---|---|
탁주 동동주 막걸리 차이, 맑은 부분만 먹으면? 숙취가 심한 이유 (0) | 2024.04.16 |
브랜디 꼬냑과 위스키 차이는? 꼬냑 등급과 종류 알아보자 (1) | 2024.04.14 |
필라이트, 필굿 맥주가 아닌 이유는? 가격이 싼 이유는? (1) | 2024.03.25 |
고량주에서 파인애플 향 나는 이유는, 연태 고량주 가짜, 유사품 구별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