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주류 관련 정보

사케 정미율에 따른 이름, 사케 등급 - 준마이, 다이긴죠

by 주식하는 개발자 2024. 6. 28.


최근 일본 여행을 갔다 오시면서 사케를 사오거나, 이자카야를 가서 사케를 드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사케를 알아보다 보면 사케 등급, 사케 정미율, 준마이, 다이긴죠 등 다양한 용어를 보게됩니다.

준마이다이긴죠는 사케 등급 중 최고를 뜻하는데요. 오늘은 사케 등급과 정미율 등에대해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1. 사케 정미율이란?

 

사케의 등급은 쌀을 얼마만큼 깎아냈느냐 즉, 정미율이 얼마인지에 따라 등급이 나뉘는데요.

 

정미율(精米歩合)은 쌀을 깎아내고 남은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닷사이 23에서 23은 정미보합율로 77%의 쌀을 깎고 23%의 심백을 사용했다는 의미입니다.

 

정미는 왜 하는 걸까?

쌀알의 겉 부분에는 '지방'과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어 잡미가 많고 단맛이 적어 사케를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심백'이라고 부르는 쌀알 중심 부분은 녹말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녹말은 당 성분이 되는 일본 사케에 필수적입니다.

 

다이긴죠, 긴죠란?

앞서 알아본 것처럼 정미율이 23%로 표시되어 있다면 77%를 깎고 나머지 부분을 사용하여 술을 만든 것인데요.

사케를 만들 때 쌀을 깎으면 깎을수록 단맛이 커지고 더 세련된 맛에 좋은 향기가 나게 됩니다. 여기서 50% 이하까지 깎아 만든 술을 '다이긴죠슈'라고 하며, 60% 이하까지 깎은 쌀로 만든 술을 '긴조슈'라고 합니다.


보통 정미율이 50% 이하면 고급술이라고 부르는데요.

50% 이하의 정미율에 양조 알코올을 첨하가지 않고 원료가 전부 쌀이면 '준마이다이긴죠'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여기에 양조 알코올을 사용하면 '다이긴죠'라고 부릅니다. 

 


2. 사케 등급

[정미율과 그에 따른 등급, 명칭입니다]

 

사케는 사용원료를 가지고 크게 2가지로 분류합니다.

 

양조 알코올 첨가하지 않은 술

양조 알코올을 첨가하지 않고 쌀, 쌀누룩, 물을 사용하여 만든 술 앞에는 '준마이'가 붙습니다.

- 정미율 50% 이하 : 준마이다이긴죠슈

- 정미율 60% 이하 : 준마이긴조슈

 

양조 알코올을 첨가한 술

양조 알코올을 첨가한 술입니다.

- 정미율 50% 이하 : 다이긴죠슈

- 정미율 70% 이하 : 혼죠조슈

 

명칭 사용 원료 정미율
혼죠조슈 쌀, 누룩, 물,
양조 알코올
70% 이하
준마이슈 쌀, 누룩, 물 특별한 기준 없음
긴죠슈 쌀, 누룩,물
양조 알코올
60% 이하
준마이긴죠슈 쌀, 누룩, 물 60% 이하
다이긴죠슈 쌀, 누룩, 물
양조 알코올
50% 이하
준마이다이긴죠슈 쌀, 누룩, 물 50% 이하

 

쌀을 많이 깎을수록 등급, 맛이 좋아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쌀의 바깥 부분에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고, 쌀의 속으로 갈수록 탄수화물(녹말)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쌀의 속살을 '심백'이라고 합니다.

심백이 많을수록 술의 발효가 더 잘 일어나고 잡미나 느끼함은 사라지고 깊이 있는 세련된 맛이 됩니다. 또한, 심백이 많을수록 쌀이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원가가 높아집니다. 즉 비싸지는 것입니다.


그럼 여기까지 사케 등급과 정미율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