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정보

고양이 범백 원인 및 증상, 잠복기와 치사율, 치료비는?

by 주식하는 개발자 2024. 6. 30.


고양이와 함께 생활 중인 집사 또는 고양이 영상을 많이 보신 분들이라면 고양이 범백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고양이 범백은 흔한 전염병이면서 가장 고양이들이 경계해야 하는 질병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고양이 범백이란?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고양이 범백 즉,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은 고양이 파보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바이러스성 장염입니다.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치사율이 높아 고양이들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입니다. '범백혈구 감소증'이라는 명칭은 이 질병에 감염된 동물들에게서 백혈구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났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2. 고양이 범백 원인

    고양이 범백은 주로 동물의 체액, 배설물 등의 접촉으로 감염됩니다. 이러한 매개체와 접촉하지 않았어도 매개체에 접촉한 빈대 및 벼룩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된 동물과 접촉했거나 침구류, 음식, 의류 등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 범백 증상

    고양이 범백 바이러스는 숙주에 침입해 가장 먼저 위장관 내벽을 공격해 위장 궤양을 일으킵니다.
    고양이 범백에 감염된 동물들은 혈변, 설사, 심한 탈수, 영양실조, 빈혈 등의 증상을 보이며, 그 외 증상으로는 우울증, 무기력증, 식욕 부진, 발열, 구토 등이 있고 오랫동안 물을 마시기도 합니다. 범백 말기에는 패혈성 쇼크, 파종성 혈관 내 응고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부분 범백에 감연된 고양이의 사망 원인은 설사로 인한 탈수, 면역 체계 문제로 이차 감염 노출 위험이 대부분입니다.
    또한, 임신 중인 고양이가 범백에 걸릴 경우 뱃속 새끼에게 소뇌 형성 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초기증상은 40~41도의 열이 나기 시작함
    • 침울, 우울, 식욕부진 증상
    • 구토, 설사, 탈수 증상
    • 면역력 저하로 인한 2차 감염인 패혈증 및 합병증

     

    고양이 범백 사람, 강아지 전염

    고양이에게 감염된 파보 바이러스는 사람이나 강아지에게 전염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3. 고양이 범백 잠복기

     

    고양이 범백 임상 징후는 보통 노출 후 4~6일 내에 발생하지만 2~14일 내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으며, 강아지로도 전염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이 질병에서 회복한 동물도 최대 6주까지 배설물등에 바이러스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4. 고양이 범백 치사율

     

    생후 2달 이내인 고양이는 약 95%의 높은 치사율을 보입니다. 또한, 2달이 넘은 고양이라도 치료를 실시할 경우 60~70%가 사망하고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100% 사망한다고 합니다.

    성묘의 경우에는 치료를 실시할 경우 치사율은 10~20% 정도이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치사율은 85% 정도라고 합니다. 


    5. 고양이 범백 치료

    고양이 범백 바이러스는 24시간 이내에도 죽을 수 있을 정도로 치사율이 높습니다. 즉 발견 즉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보통 전체적으로 저하된 백혈구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혈 수혈을 하기도 하고 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 비타민 등을 포함한 수액을 주입합니다. 이 질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해 보통 입원 후 격리치료를 실시합니다.

    • 높은 전염성으로 격리 실시
    • 수액을 투여해 탈수를 완화시킴
    • 항생제를 투여해 패혈증과 같은 2차 감염 막기
    • 구토가 지속되면 항구토제 투입
    • 백혈구 수치가 감소하면 전혈 수혈을 통해 백혈구 수 증가
    • 회복 후에도 관찰 및 소독 필요

     

    고양이 범백 치료비

    범백 치료를 위해서는 최소 1주일은 입원치료를 해야 합니다.
    보통 하루 입원비는 수액 비용 포함 15~17만 원 정도라고 합니다. 검사 비용과 1주일 격리 입원치료를 기준으로 120만 원에서 160만 원 정도까지의 비용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용은 고양이의 상태와 동물병원에 따라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양이 범백 키트검사(FPV)는 평균 37,000원 정도라고 합니다.

     

    고양이 범백 검사키트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고양이에게서 갑작스럽게 구토, 설사 증상과 식욕저하 증상이 나타난다면 범백 검사를 해봐야 합니다. 고양이 범백 검사 키트는 분변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동물병원에서 검사를 하거나, 동물약국에서 진단키트를 구매해 직접 검사할 수 있습니다.

     

    검사는 면봉으로 고양이 항문의 분변을 채취한 뒤 희석하여 테스트기에 떨어뜨리는 방식입니다. 테스트기에 2줄이 나타나면 고양이 범백에 걸린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6. 고양이 범백 예방법종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백신으로 예방합니다. 
    접종은 최소 6 주령 이후부터 3~4주 간격으로 3회 접종하며 3차 접종 후 항체 검사를 통해 항체가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을 합니다. 항체 확인이 되면 1년에 한 번씩 추가 접종을 하여 항체를 유지시켜 줍니다.

    이 백신은 여러 질병에 대한 방어능력과 범백 심각도가 크기 때문에 고양이에게 추천됩니다.
    임신 중인 고양이가 범백에 걸릴 경우 뱃속 새끼에게 소뇌 형성 부전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임신 중인 고양이라면 FPV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접종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럼 여기까지 고양이 범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