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질병 | 질환 정보

봉와직염 초기 증상, 치료와 예방 및 합병증은?

by 주식하는 개발자 2023. 12. 18.


봉와직염은 연조직염이라고도 불리며 세균이 피부의 진피와 피하 조직에 침범하여 생기는 염증 질환입니다.

주로 다리나 발에 많이 발생하며, 고령자, 면역 억제 환자 등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균이 침투해 염증반응을 일으키면 감염 부위에 홍반, 열감, 부종 등이 생기는데요. 이질 환은 초기 치료가 중요한 질환입니다.

그럼 오늘은 봉와직염 원인과 증상, 치료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봉와직염이란?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봉와직염은 세균이 피부의 피하 조직에 침범해 생기는 질환입니다.

과거에 벌집 모양의 염증이라고 해서 '봉와직염', '봉소염'이라는 병명으로 많이 불렸는데요. 우리말 개정 작업으로 한자어 개정하여 연조직염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고령자, 면역 억제환자, 말초혈관 질환자 등에게 발생할 확률이 높은데요. 염증이 생긴 부위에 통증, 열감, 홍반,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봉와직염 원인은?

 

봉와직염은 주로 피부 상처로 인해 생기게 됩니다. 질병을 일으키는 병균의 종류는 다양하며, 황색포도상구균이나 A군연쇄구균이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특히 연조직염을 앓은 환자들은 림프계열에 손상을 입게 되면서 같은 곳에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봉와직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1. 피부가 매우 건조한 경우

2. 궤양, 모낭염, 종기, 상처 등 선행 감염이 있을 때

3. 무좀 및 발가락 사이에 짓무름은 세균 침입 경로를 제공합니다.

4. 피부 표면에 상처, 손상이 있는 경우(외상)

5. 곤충에 물렸을 때, 모기에 물려 긁게 되는 경우


● 침투한 경로에 따라 원인이 되는 병균 종류가 다를 수 있습니다.

 

- A군연쇄구균 :

외상 등을 통해 진피의 손상으로 침투할 경우

 

- 황색포도상구균

상처 및 종기를 통해 침투할 경우

 

- 녹농균, 비브리오

침수 등으로 인해 침투할 경우

 

 

3.봉와직염 증상

 

봉와직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발병 초기에는 열감, 부종, 홍반 등이 있습니다.

발열과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며 근육통 및 식용 저하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심한 겨이우에는 물집 중심부가 곪아 고름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오한 및 발열 등과 같은 증상이 동반됩니다. 또한, 만져 보면 따뜻하고 부어 있습니다. 자색반과 물집과 고름 물집이 나타나 납니다.

 

심한 경우 전신 고열이 생기면서 염증 수치가 급격히 높아질 수 있습니다. 

괴사성 근막염이 생길 수도 있는데요. 근육의 껍데기 근막에 세균에 감염되면서 급격히 퍼져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괴사성 근막염은 생명까지 위험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아픈 부위가 하루 이틀 내로 다리 전체로 빠르게 퍼지는 증상을 느낀다면 괴사성 근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4.진단과 검사

 

균 검출률이 낮기 때문에 봉와직염의 진단에는 임상 증상이 중요합니다. 

균 배양 검사를 통해 봉와직염을 확진합니다. 만일 감염이 피하조직보다 깊이 있을 경우 X-ray 및 MRI를 통해 진단합니다.

 

일반혈액검사에서는 환자의 50%에서 백혈구증가증, 중성구증가증을 볼 수 있습니다.

 

 

4.봉와직염 치료와 예방

 

봉와직염 치료

1. 항생제 치료

봉와직염의 주된 원인균인 황색포도알균과 사슬알균을 박멸하는 항생제를 투약하게 됩니다. 이때 초기증상을 제외하고 1~2주 입원치료가 원칙입니다.

 

2. 항진균제 사용

무좀이 있는 경우에 항진균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3. 진통 소염제

열이나 통증, 염증이 심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4. 냉찜질

병변 부위에 냉찜질을 해 해 주고, 다리에 있을 경우 다리를 올려놓는 게 좋습니다.

 

5. 반깁스

감염된 부위를 움직이면 염증이 퍼질 수 있기 때문에 반깁스를 하기도 합니다.

 

 

봉와직염 예방

1. 평소 야외활동을 한 후 샤워를 꼭 해주세요.

2. 상처가 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상처가 생겼다면 소독을 잘해주세요

3. 재발이 잘되기 때문에 한번 질환을 겪었다면 더욱 잘 관리해야 합니다.

4. 무좀이 있으시다면 먼저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5.봉와직염 합병증

 

봉와직염의 합병증으로는 피부 괴사, 패혈증, 골수염, 화농성 관절염 등이 있습니다.

 

봉와직염 전염성

봉와직염 전염성은 없습니다.

 


그럼 여기까지 봉와직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